"Tannoy","아날로그",그리고 LP!

"Tannoy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Autograph" 에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자세히보기

오디오 이야기

최고의 승압트랜스 "Woden PB2 "

chocho(조)의 탄노이(tannoy) 2013. 10. 24. 21:41

tannoy를 듣고있는 많은분들은 고음의부족에 고민을 많이 합니다.

그래서 별도의 트위트를 사용하는 분들을 볼수 있습니다.

탄노이(제경우 래드)에  슈퍼 트위트를 굳이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요?

래드 자체에서 뻗어 나오는 고음만 가지고도 충분하리라 생각 됩니다만,

소프라노 "에레나 솔리오티스"의 "Rome Opera" 음반을 들어보면 솔리오티스의

끝이없이 올라가는 목소리가 경이롭기 까지 합니다.

제경우에는 시스템이나 케이블, 등 특히 더큰 영향을 주는것이 승압트랜스 인것 같습니다. 

아날로그를 하면서 Spu를 통해 나오는 전기신호의 음색을 좌우하는 승압트랜스에 큰 비중을 두었습니다.

오토폰외, J ,P,W, 등을 거쳐 지금의 woden PB2를 사용하고 있는데 고음과 저음의 발란스가

잘맞고 특히 고음의 경우 거칠지 않는게 특징입니다(탄노이와 딱 맞아 떨어 집니다).

현악사중주를 들어보면 바이얼린,비올라,첼로의 악기소리가 각기 다른곳에서 들리는듯하여

마치 연주회장 맨 앞자리에 앉아있는 착각에 빠집니다.

 

 

파트리치 TH-9708
웨스턴 618B

 

 

 

*다음은 승압트랜스에 대한 고수분들의 의견입니다.  "소전"에 올린 제글에 대한 의견입니다.

김성진
Woden 이 압도적입니다. 사실 제가 승압트랜스에 관심이 많아서 여러개를 씁니다만 Woden 이 제일 좋다는 느낌이네요. 만약 저임피던스라면 비교의 여지도 없이 좋습니다. 53년 형은 5오옴입니다. 다음으론 618A 가 좋았습니다.
 
2008.10.29 08:53:55 (*.104.250.42)
안성민
웨스턴 618A는 탄노이, 알택 등에 두루 좋았으나 원체 고가이어서 위 웨스턴 618A보다 CP가 높은 피어리스 K241D를 추천합니다. 이 피어리스 K241D는 님께서 들먹이신 각 승압트랜스(웨스턴618A 제외)보다 저역의 단단함과 소리의 정돈감에서 한수 위이며 카트리지에 대한 범용성도 다소 큰 편입니다 그리고 피어리스 K241D는 제작회사에서 권장한 트랜스 결선 방법보다 동호인들이 개발한 결선 방법으로 결선할 시 한층 더 좋은 소리를 들려줄 것입니다 그러나 이 피어리스 K241D는 고역이 날카로운 EV나 알텍 등과 같은 스피커와 매칭할 때는 고역에서 그리 좋지않았습니다 유감스럽게도 위 Woden는 흔치않아 사용해 보지 못했습니다
 
2008.10.29 22:59:21 (*.134.34.54)
최형돈
안선생님 말씀대로 저는 피어리스 K241D를 다른 동호인을 통해 spu 구형에 맞게 로 임피던스 결선으로 바꿔 사용합니다. 음질은 그저 놀라울 뿐입니다. 웨스턴 618b와 비교할 때 중역대의 두께감이 좀 덜할 뿐 EV T350 트위터에서 고역의 아름다움은 더 나으며, 종합적으로 볼 때 그리 밀리지 않고 사람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가격을 생각하면 더 말할 필요가 없지요... 영국제 우든 역시 어떤 분의 권유로 며칠간 써 본 경험이 있는데...나쁘다기보다는 제 시스템에서는 K241D가 더 좋은 결과를 나타내주었습니다. 피어리스의 이 트랜스 때문에 파트리지 9708, 오르토폰, 노던 일렉트릭 등의 괜찮은 승압트랜스가 모두 제 곁을 떠나갔습니다. 다만 매칭은 시스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맹신하시지는 마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08.10.29 23:02:50 (*.134.34.54)
최형돈
조찬규님...발품을 파셔서라도 SPU 구형 중 상태 좋은 것 꼭 구하셔서 들어보십시요...차이가 많을 것입니다.
 
2008.10.31 10:52:05 (*.28.69.9)
전용국
k241d 새로개발된 결선법 알려주실분 안계신가요?미리감사드립니다..
 
2008.11.02 09:00:52 (*.137.53.123)
조찬규
좋은 트랜스 일수록(승압비가 높은?) 포노케이블의 선택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되는데,가라드301(rmg212)에는 어떤종류의케이블이 질감있는 소리가 날까요? 경험하신분들의 고견을 부탁합니다.
 
2008.11.02 16:01:46 (*.77.60.26)
최희경
포노케이블은 재질(순은선, 은도금선, 순동선, 주석도금선 등등)과 제작회사 시기에따라 실로 천차만별이기에 꼭집어서 이거다라고 말씀드리기가 정말어려운부분이나,예로, 톤암에서승압인풋까지 쓰여진선의 재질이 동선이라하면 승압에서 프리앰프 포노인풋으로 가는선의 재질을 다양하게 비교하여 본인의 취향및 씨스템의 조화를 선택하시는것이 시행착오를 줄이는것이 아닐까요...
 
2008.11.03 19:15:44 (*.104.250.42)
안성민
제 경험도 최희경님 말씀데로 승압에서 프리앰프로 가는 케이블의 재질에 따라 음의 변화가 포노에서 어떤 다른 케이블 보다도 영향이 컸었습니다 그때 최희경님께서 권고한 그 노이만케이블은 아직도 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웨스턴618A가 피어리스K241D보다 돋보이는 점은 중역에서 사람을 매료시키는 마력이 있다고나 할까요? 하지만 최형돈님께서 말씀하신 웨스턴 618B와 SPU 매칭 시는 이 마력이 사라지는 것이였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피어리스 K241D 결선 방법을 말씀드리면, 1. 제작사 권장 결선 : o 1차 (1)(5)쬬인 및 (2)(6)쬬인..... (1)(5)번을 (+), (2)(6)번을(-) o 2차 (9)(11)쬬인한 뒤. (7)번을 (+), (12)번을(-) 연결 2. K241D 애호가들이 연구하여 개선한 결선 : o 1차 (3)(6)죠인 및 (2)(5)죠인......(3)(6)번을 (+), (2)(5)번을(-) o 2차 (9)(11) 죠인해 놓고 (7)번을 (+), (12)번을 (-) 연결 ※ 만약 위가 역상이 된다면 ㅇ 1차 (3)(6)죠인 및 (2)(5)죠인......(3)(6)번을 (-), (2)(5)번을(+)
 
2008.11.04 16:15:24 (*.77.60.26)
최희경
안선생님, 아직도 잘 쓰고계시다니 반갑습니다...^*^근간 죠겐쇼 트랜스들이 돌아다니는데, 구형이던 신형이던 1차는 1.5옴통일이고,2차가 600옴, 1.5K옴, 20K옴, 40K옴, 200K옴등이 있습니다.2차가 600옴, 1.5K옴은 모노바늘(출력대비), 20K, 40K는 스트레오바늘에 사용하시는것이(취향차이는 있으시겠지만) 바람직합니다.
 
2008.11.05 00:58:58 (*.137.53.123)
조찬규
좋은제품들 소개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인연이 될런지는 모르겠지만, woden이나,k241d,등 인연이 닿는데로 사용해볼 생각입니다. 조언을 해주신분들께 감사 드립니다.
 
2008.11.06 20:25:24 (*.201.213.101)
윤영진
K241D의 장점은,증폭률이 다른 어떤 것보다 높으면서도, 증폭률이 높은 트랜스포머가 필연적으로 갖게 되는 고역에서의 문제점이 적다는 점입니다. (4665나 4629보다 증폭률이 높습니다.)코어에 2차 권선 감이수가 많을수록 저역 리스폰스와 증폭률에 유리한 반면 고역에서 롤오프와 찌그러짐이 나오기 쉬운데 특히 K241D는 그런 단점을 잘 커버한 트랜스포머입니다.증폭률이 높으면서 대역이 넓으면 당연히 음에서 쾌감을 줍니다.그러나 미묘한 음색 등에서는WODEN이나 초기 구형 SIEMENS, MALOTKI 등의 트랜스포머 등이 매력을 더 가진 것 같습니다. * 음색에 대해서는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였습니다.
 
2008.11.06 22:36:46 (*.69.150.205)
임정택
지는 텔라푼켄 마이크 입력 트랜스 씁니더! ㅠㅠ
 
2009.09.13 14:31:32 (*.137.53.123)
조찬규
아날로그 에서 가장 민감하고 음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것이,턴 케이블과 승압트랜스가 아닌가 생각 합니다. 정말 어렵게 오토폰 케이블과,woden트랜스(pb2)를 들이게 되어 만족하고 있읍니다.

 

김성진
PB 2 네요. 한국에 저와 조중걸 선생만 가진줄 알았는데. 대단하단 말 밖에 안나오는 MC 승압이지요. 이것말고 MT 101 은 더 좋지요. 모노 시대에 나온 거지요.
댓글
2010.11.25 09:10:12 (*.185.5.36)
김정숙
개인적으로는, MT101소리가 조용하고 점잖하긴 하지만,보다 PB2가 더 섬세하고 현장감과 대역폭과 밸런스가 더 좋았습니다. 끝이 더 살아 있드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