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아날로그",그리고 LP!

"Tannoy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Autograph" 에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자세히보기

탄노이 사운드. 51

"슈베르트" 현악5중주 C장조, D.956-'칠링기리안 콰르텟(Chilingirian Quartet)"+J.C.클라크(+첼로).[탄노이 사운드].

"프란츠 슈베르트(1797~1828,오스트리아)의 유일한 "현악 5중주"인 D.956은 1828년에 "슈베르트"가 세상을 떠나기 약2달정도 남긴 시기에 작곡되었으며, 죽음을 예감해서인지  아니면 정신적으로 일찍 성숙해버렸는지 31살의 나이에 노년의 작곡가들이 작곡한 듯한 따스함과 깨달음의 경지 같은게 녹아들어있고, 실제로 "슈베르트"의 '현악사중주'등을 포함한 모든 실내악중에서도 마지막으로 작곡한 곡이 되었습니다. -"슈베르트" 현악오중주 C장조, D956. 1,2악장.-"슈베르트"의 "현악오중주"의 특이한 점은, '모차르트', '베토벤'등 다른 작곡가들의 현악오중주와는 다르게 현악사중주에비올라 대신 제2의 첼로가 추가 되었는데, 이는 '보켈리니'외에는 실내악에 거의 없었으며, 이 "현악오중주"에는 저음..

"모차르트" "하이든 현악사중주(불협화음 외)"- "칠링기리안 콰르텟(Chilingirian Quartet)"연주.[탄노이 사운드].

"하이든"을 존경했던,"모차르트(1756~1791,오스트리아)와, "하이든(1732~1809,오스트리아)" 두 거장은 음악적으로도 서로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특히 현악4중주 작품에서 잘 나타납니다. 두 대의 바이올린과 비올라, 첼로로 연주하는 현악4중주는 고전주의 음악의 순수한 아름다움을 잘 나타낸 음악장르로, 고전음악의 대가인 '하이든'과 '모차르트' 역시 현악4중주 분야에 많은 작품을 남겼고, 그 중 "모차르트"가 ‘하이든 4중주’라 부른 여섯 곡의 현악4중주곡들은 "하이든"의 작품으로부터 직접 영감을 받았을 뿐 아니라 "하이든"에게 헌정된 작품이기도 합니다.1782년부터 1785년까지 4년에 걸쳐 작곡된 6곡의 ‘하이든 4중주’곡을 작곡하는 동안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가 기울인 노력은 ..

"비발디" 바이올린 협주곡(쾌락,의혹,폭풍,사냥 外)-"예후디 메뉴인"연주.[탄노이 사운드].

"안토니오 비발디(1678~1741,이탈리아)는 이탈리아 바로크 시대를 통틀어 가장 뛰어난 작곡가이며, 500곡 이상의 협주곡,"글로리아"를 비롯한 교회 성악음악, 수많은 기악음악,을 작곡했고, 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로도 명성을 떨쳤으며,"비발디"는 그의 아버지 처럼 붉은머리 덕분에 "빨간머리 神父(The Red Priest)"라는 애칭을 얻기도 했었습니다.특히 "비발디 사계(四季)"는 분명한 표제를 가지고 있으며, 세계인이 좋아하는 클래식중, 단연 1위로 손꼽는 명곡 입니다."비발디"의 삶은 그의 음악과 마찬가지로 화려 하였는데, 바이올리니스트로, 1703년 부터 자선 양육원이자 여학교에서일하며 학생들을 가르쳐 그들에게 세계적인 명성을 안겨 주기도 했고, 1713년에는 '오스페달레'관리들이 의뢰한 ..

"바흐" 브란덴부르크(Brandenburg)협주곡-'잉글리쉬 챔버'오케 연주.[Tannoy sound].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은 "요한 세바스찬 바흐(1685~1750,독일)가 1721년 '브란덴부르크'의 '크리스토프 루드비히'에게헌정하기 위해 작곡된, 6개의 바로크 협주곡으로 "바흐"의 대표적인 작품 입니다. 원래의 제목은 "다양한 악기들을 위한 6개의 협주곡"으로, 6개의 곡이 각각 다른 악기들을 위한 곡으로 작곡 되었습니다.(1968년 Decca 레코딩 입니다)."브란덴부르크 협주곡"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악기를 편성에 유감없이 발휘된 '바흐"의 독창성과 상상력이라고 할수 있으며, "바흐" 시대에 연주 가능했던 악기들을 다채롭게 편성하여 다양한 음색을 탐구했기 때문에 각각의 협주곡들은 저마다 색다른 음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제1협주곡- 칸타타 '사냥'에서 빌려온 선율을 사용했으며 '호른'파트가 ..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바이올린협주곡1,2번.-"요제프수크"연주.[탄노이 사운드].

"보후슬라프 마르티누(1890~1959,체코)는 뛰어난 바이올리니스트로, 프라하 음악원에 재직하면서 재정적 후원을 받다가,불성실한 태도로 해고되고, 파리로 가서 작곡가로서의 자리를 잡아갑니다. 친 체코 활동으로 나치의 표적을 피해 미국으로망명을 하기도 했으며, "마르티누"의 작품들은 르네상스 음악부터 재즈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마르티누" 바이올린 협주곡1번('요세프 수크' 연주). "요세프 수크(1874~1935,체코)는 "드보르작"이 가장 아끼던 제자 였으며, '체코4중주단'의 제2바이올리니스트로 들어가,4000여회의 연주활동을 했으며, 1906년 대표작 '이스라엘 교향곡'을 작곡하는등 작곡가 로서도 체코를 이끄는 중심인물 이였습니다.

"엘가" 교향곡1번 A flat장조,Op.55.-"G 솔티"지휘의 '런던 필'연주.[탄노이 사운드].

영국이 가장 번영을 누렸던, '빅토리아'여왕과, '에드워드7세' 시대를 이야기할때 함께 등장하는 인물이 "에드워드 엘가(1857~1934,영국)" 입니다. "엘가"는 고향(워스터셔, 멜번 힐스)에 대한 남다른 애정으로 고향으로 돌아가 프리랜스 음악가로 활동 하면서 제자들을 가르쳤고, 훗날 "엘가"는 제자였던 '캐롤라인 엘리스 로버츠'와 결혼 하였는데, 그녀는 결혼후 "엘가"가 작곡에 전념할수 있도록 용기를 불어넣어 주었습니다. "엘가"는 1920년 아내가 세상을 떠난 이후로는 거의 작품을 쓰지 않았습니다. -"엘가" 교향곡1번 1악장( Andante, nobilmente e semplice - Allegro).- 바이올리니스트 이기도 했던 "엘가"는 각 장르의 음악에 명곡들을 작곡 하였는데, "수수께끼변..

"쇼스타코비치" 교향곡5번 D단조,Op.47-로열 필하모닉("아쉬케나지"지휘).[Tannoy sound].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러시아)는 "브리튼"과 함께 20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작곡가 인데, 15곡에 이르는교향곡과 현악4중주는 '말러'와 '바르톡'이후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 됩니다. "쇼스타코비치"의 교향곡1번 같은 초기작품에는 '차이코프스키'와 '스트라빈스키'의 화려하고 풍부한 음악적 감성, 그리고 '프로코피에프'의 냉소적인 풍자성이나타나 있습니다."교향곡5번 D단조,Op.47"은 "쇼스타코비치"작품 가운데 가장 많이 연주되는데, 이 교향곡은 예술가로서의 삶의 고뇌가집약되어 있는 작품이며, "쇼스타코비치"는 이 작품에 '당국의 비판에 대한 소련의 예술가의 답변'이라는 부제를 달았습니다. 이 작품에 대하여, 절망적인 외침으로 시작하여 길고 무기력한 탄식이 뒤따르고 피날레의 낙관적인..

"베토벤" 교향곡3번(Eroica)Ef장조,Op.55.-'필하모니아'("잔데를링"지휘)연주[탄노이 사운드].

"베토벤(1770~1827,독일)이 본격적으로 창조력을 분출시키기 시작하던 1803~1804년에 작곡된 곡이며, 고전주의 시대의 양식을 완성하고 나아가 시대의 관습을 초월하는 음악적 혁신이 동시에 드러나는 작품 입니다. 프랑스 영웅'나폴레옹'에 찬사를 보내기 위해 원래는 이 곡에 ‘보나파르트’라는 이름을 붙였으나 스스로 황제에 오른 '나폴레옹'에 실망하여 그 이름을 지우고 이라 명명했으며, 4악장 구성으로, 연주시간만 약 50분에 달하는 대작 입니다.1악장 알레그로 콘 브리오(Allegro con brio). 2악장 장송행진곡: 아다지오 아사이(funeral march: Adagio assai)"베토벤"은 전작인 1, 2번 교향곡에서처럼 만하임 악파의 관현악 편성을 바탕으로 하되 〈교향곡 3번〉에서는 클..

"베토벤" 피아노협주곡1번(Op.15),2번(Op.19)-"빌헬름 켐프"와 '베르린 필'연주.[탄노이사운드].

"베토벤(1770~1827,독일)이 피아노협주곡 1번(C장조)을 작곡하기 시작했을 때, 그는 생계를 위해 귀족 가문의 여성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고 있었는데, 그는 이 작품을 이 학생 중 한 명인 '바르바라 드 케글레비치'에게 주었습니다. '바르바라'는 얼마전 '오데스칼키' 왕자와 결혼한 왕자비 였습니다. "베토벤"은 이곡을 비엔나와 나중에 프라하에서 여러 차례 수정을 거친 후, 1797년에 완성 되었는데, 작곡가 '토마셰크'는 이 곡을 보고 며칠 동안 피아노를 만질 수 없을 정도로 감동했다고 했습니다. 첫 연주는 1798년 프라하에서 이루어졌으며, 작곡가가 직접 솔로 부분을 연주했습니다."https://www.youtube.com/embed/g-4D7t1uUTI?si=IVqzFpMuQUpJ8sd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