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아날로그",그리고 LP!

"Tannoy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Autograph" 에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자세히보기

교향곡,협주곡,관현악,등. 207

"Sympbonic Fantasia KOREA(한국 환상곡)" - LA필 하모니 연주("안익태" 작곡,지휘)[탄노이 사운드].

음반을 정리하다가 찾아낸 "한국 환상곡" 입니다. 가히 "베토벤" '교향곡 9번(합창)'과, "장 시벨리우스"의 '필란디아'에 비교되는, "안익태" 선생님이 아니면, 누구가 이런곡을 작곡 했을까요? 이음반은 196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니" 와 "합창단"의 "헐리우드 볼" 야외 음악당 에서 '안익태선생"의 지휘로 연주 실황을 녹음한것으로, 연주가 끝나자 우뢰같은 박수까지 생생하게 녹음된것을 서라벌 레코드 에서 1976년 Lp음반으로 제작된 것입니다. -고 "안익태"선생이 작곡한 "한국환상곡"1부(개국을 알리면서, 아름다운 강산과 우리의 가락으로 시작하여, 일제 강점기와 삼일운동때 까지).- -고 "안익태"선생이 작곡한 "한국환상곡"2부(독립을 위한 투쟁과 독립의 감격, 그리고 6.25동란과 진혼곡..

Shostakovich - 피아노,트럼펫,현을위한 협주곡 1,2번op35 (Dmitri Alexeev 피아노), <월츠2 동영상>.

"쇼스타코비치" 피아노 협주곡 1,2번이 들어있는 이음반은 "쇼스타코비치" 특유의 빠른템포의 피아노 선율에 "필립 죤스"의 트럼펫이 어우러져 경쾌 하면서도 아련함이 있는, "예르지 막시미우크"가 지휘하는 잉글리쉬 챔버 오케와의 협연이 돋보이는 1981년도 EMI 앨범입니다. 이협주곡에는 "파울 힌데미트"의 신고전주의적 경향이 짙게 나타난다.트럼펫이 연주하는 바로크적 군대팡파르에 맞서 1악장은 향수에젖은 피아노 주제를 제시한다. 2악장은 슬픈가락의 왈츠다. 3악장은 신고전주의적 대위선율로 가듣하며, 마지막 4악장은 "쇼스타코비치"작품 가운데 가장 활기넘치는 피날레 악장이다. 이앨범의 마지막에 녹음된 "The unforgettable year 1919",op.89 를 들어보면 어린시절 아름다운 Gorky 에..

"Bohuslav Martinu" violin협주곡- Josef Suk연주.[탄노이 사운드]

"보후슬라프 마르티누(1890,12,8~1959,8,28)" 는체코의 작곡가이며 바이올리니스트로 프라하 음악원에 재직하면서재정적 지원을 받았으나, 불성실한 태도로 해고되어, 파리로 거처를 옮겨 작곡가로 자리를 잡아 가던중, 친 체코활동으로 나치의표적이 된후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유럽으로 돌아와 스위스에서 활동하면서 르네상스 음악부터 재즈까지다양한 장르의 영향을 받았습니다."요제프 수크"의 바이얼린 연주가 현란함을 보여주는 이음반은 1973년 체코의 슈프라폰 제작입니다. -"마르티누" 바이올린협주곡1번, "요셉 수크"의 연주 입니다.-

Henryk Wieniawski 와 Alexander Glazunov- violin협주곡(Ida Haendel연주)

Ida haendel(1928~ )이 연주하는 "비예니아프스키"와 "글라쥬노프"의 바이얼린 협주곡 입니다. lp음반이 흔하지 않아 아날로그로 듣기가 쉽지않습니다. "이다 헨델" 의 거침없는 연주가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이음반은 1965년도 체코슬로바키아 슈프라폰 제작입니다. -"글라쥬노프" 바이올린 협주곡A단조.- 폴란드 출신의 명바이올리니스트이며 작곡가인 "비에니아프스키"는 2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남겼다. 그 중,유명한 제2번은 화려한 바이올린의 기교와 감미롭고 슬픈 서정이 조화된 작품이다.특히, 제2악장 Romance는 독립되어 연주될 정도로 서정적 아름다움이 뛰어났다.

"Corelli(코렐리)" - Concerto Grosso,no.8(일명:'크리스마스 협주곡').

"아르칸젤로 코렐리(1653~1713,이탈리아)"는 특히 바이올린의 기교를 확장시키고 기악곡의 형식을 완성하는 데 공헌한 작곡가로 ‘세계 최초의 기교파 바이올리니스트’, ‘합주 협주곡의 아버지’, ‘현대 바이올린 주법의 창시자’ 등으로 불렸습니다.그는 트리오 소나타와 합주 협주곡 등 바로크 시대의 전형적인 기악곡의 악장 구성 및 형식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고, 특히 작곡가이기 이전에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자였던 그는 바이올린의 새로운 주법과 테크닉을 개발하고 이 기교들을 음악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바이올린의 기교를 확장시키는 데 큰 공헌을 했습니다."나에게는 수녀가되신 고종사촌 누님이 한분 계십니다. 성격이 온화하고 따뜻하여 나는 가끔씩 범어동 B성당으로그 누님을 찾아가곤 했습니다, 어느때는 넓..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3번,Op.30.-"아스케나지"연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러시아)는 지휘자이자 피아니스트이며,대범한 테크닉과 음악을 대하는수수한 태도,명징한 음색으로 유명하며, 그는 러시아 후기 낭만주의 전통을 잇는 마지막 작곡가 입니다.대부분의 작품들은 1917년 러시아를 떠나기전에 작곡이 되었고 작품에는 조국에 대한 그리움과 향수가절절히 베어 있으며, "내가 갈수없는 곳은 나의조국 러시아 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피아노협주곡3번은 첫 주제에서 모든것을 느낄정도로 큰스케일로 폭넓은 감정표현을 보여 줍니다."아스케나지"의 피아노와 "유진 오만디"가 지휘하는 '필라델피아'오케의 이음반은 1976년 RcA 제작입니다.특히 '라흐마니노프'의 피협3번은 오래된 영화"샤인"의 배경음악으로 나와 우리들 기억속을 맴돌고 있습니다."라흐마니노프..

"멘델스죤" 바이얼린 협주곡E단조- Igor Oistrakh연주

"다비드 오이스트라흐"의 아들로 태어난 "이고르 오이스트라흐" 가 연주한 "멘델스죤"과 "베토벤" 은 그 힘찬 바이얼린 소리가 가히, 20세기 최고의 바이얼리니스트인 아버지에 가려 명성을 뛰어 넘지는 못했지만 이음반의 연주를 들어보면 아버지를 뛰어 넘을수도 있다는것을 보여줍니다. "멘델스죤"은 많은 바이얼리니스트 들이 음반을 냈지만, 그 어떤 음반보다 뛰어난 연주를 보여주는 1956년에 녹음된 Polydor社 제작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