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노이를 좋아하며, 탄노이와 함께 음악을 듣고,탄노이가 있는곳을 찾아다니다 보니,
제게, 탄노이를 처음 맞이하시는 분들께서 가끔 탄노이에 맞는 시스템에 대하여 문의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또 한편으로는 저에게 이만큼의 소리를 듣게 해주신분들[**사운드의 사장님,(주)공*의 본부장님
조**님,이**님 등 여러분]에 대한 고마운 마음에,또 제가 현재까지 구성해본 시스템중, 가장 좋은소리를
들려주는것 같아 이렇게 소개를 드려 볼까 합니다.[이글은 제개인적인 생각이며 제주관적인 판단임을 미리 말씀드려 둡니다]
저는 "래드12'" 를 "오토그라프"에 장착하여 듣고 있읍니다. 물론 오토그라프는 15" 인클로우즈 이며,저는
여기에 12"어댑트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읍니다. 이렇게 했을때의 장점만 말씀드리면,
1,통전체의 울림이 거의 없으며
2,10평내외의 아파트거실에서 듣기에 무리가없고
3,통울림이 없다보니 미로를 통해서 퍼져 나오는 저역의여음이 아주 편안하며
4,12"를 큰통으로 듣게되니 고음과 저음의 해상도가 뚜렷해져 악기마다의 소리가 분명해지고
5,래드12"의 예쁜고음에 오토그라프의 부드러운 저음이 조화를 이루어 심포니같은 대편성을 듣기에도
무리가 없이 편안하다.[이상은 제주관적인 생각이며 장점만 기록했음]
제가 사용하는 앰프는 특정社의 기기라 브랜드명을 거론할수는 없읍니다만,국내 제작의 300B PP를
모노 모노로 사용하며 프리역시 같은社의 레인**프리 입니다.
파워앰프에는 니켈코어 출력트랜스,인터스테이지 트랜스 드라이브방식이며 초단관은 we420a과e80cc,
드라이브관은vt137,정류관은 rca80,출력관은we300B신관 이며 출력25W A1급입니다.
특징은 마크23의 섬세함에 300B 특유의 부드러움과 25W의 힘은, 유연하다가도 거센파도처름 몰아치는
음장감이 돋보이는 소리입니다.
프리앰프는
◈ PHONO EQ AMP - 형 명 : CR 타입, 사용 진공관 : 웨스턴 420A ×3개 입력 인피던스 47K
출력 인피던스 150k
◈ LINE AMP 파트- 사용 진공관 :멀라드12AU7 ×4개,사용된 부품 : 캔 타입 오일 콘덴서와 은 접점
탄탈 콘덴서와 1W 1%급과 0.5%급의 초정밀 저항으로 구성하였음.
◈ 출력 트랜스- 니켈 코어 탑재,
◈ CD 입력 트랜스-입력 Impedence 600Ω 2차 인피던스 15K ,니켈코어 사용.
이프리는 제가 사용해본 기기[메킨22,마크26,첼로]보다 훨씬 좋은 해상력과 투명성을 가졌읍니다.
mc승압 트랜스는 동社의 노블 승압트랜스이며,
프리 파워의 연결은 반덴헐 발란스케이블을 사용합니다.
소스기기는 디지탈은 잘아시는 "와디아16"이며[잘아시는 기기라생략],아날로그는 린LP12 이톡암에
카트리치는 벤쳐 마이크로社의 "글라이드"와"루비"를 사용 하는데 해상력에서는 글라이드가 앞서는것 같고, 부드러움은 루비가 좋읍니다. 와디아16과 루비의 소리는 거의 흡사합니다[같은음반으로 실험].
스피커 케이블은 은선과 주석선을 같이 사용하여 대역폭을 높이는데 주력했읍니다[고역과 저역의 한쪽으로 치우침을 방지키 위함으로].
이상, 두서없이 제가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드렸읍니다. 특징은
1,빈티지적인 두툼한소리가 아니며 맑고 깨끗한 윤기있는 소리입니다.
2,고음은 카랑카랑하나 시끄럽지 않으며 진하게 뻗어나는 소리이며
3,저음은 오토그라프 특유의 룸전체를 휘돌아 퍼지나 산만하지는 않고 여음은 부드럽습니다.
4,"와디아16" 보다는 "벤쳐 그라이드"에서 대역폭이 넓고 해상력이 뛰어 났읍니다.
5,래드12"의 장점과 오토그라프의 특징을 잘 조화시킨 시스템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탄노이 실버나 래드의 15" 보다는 시스템 구성이 훨씬더 쉬울것으로 생각되며,탄노이를 즐기시는
분들께 혹 누가되지 않았나 하는 걱정도 있읍니다만, 탄노이를 이해하는데 작은 도움이나마 될까하여
올려 봅니다.
벤쳐마이크로社의 "글라이드"- 루비보다도 더좋은 해상력을 자랑합니다.
*1948년 2월 오디오엔지니어링에 WE755A에 대한 광고란을 보면 주파수가 70에서 13000사이클로 나와 있다.
또 10월호에는 755A와 756A 그리고 728B가 광고로 나와 있다.
756A의 주파수는 고작 65에서 10,000사이클이고 728B는 60에서 10,000사이클이다.
오디오적 측면에서 본다면 이 유닛으로 음악을 제대로 들을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데 많은 사람들이 웨스턴이라는 브렌드로 인하여 갖지 못해 안달하는 이유를 잘 모르겠으며, 그 가격도 상상을 초월하고 있다.
맹목적인 추종은 아닌지???
1954년 9월호 오디오라는 잡지에 탄노이 모니터 실버에 대한 광고가 나와 있다.
내용인즉선 실버의 12인치와 15인치의 반응주파수는 35에서 20,000사이클로 나와 있다
스펙은 다르나 반응주파수는 같은 것으로 나와 있다
가격도 그렇게 많이 차이 나지 않는다. 12인치가 130달러, 15인치가 159달러다.
요즙 이 물건들이 거래되는 가격에서 12인치와 15인치는 엄청 차이가 나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차이가 나지 않는 물건이며 반응주파수도 같은 것으로 보이는데 왜 15인치를 그렇게 선호하며 못갖어 안달인지 이해가 잘 안간다.
1955년 오디오 1월호에 액시옴 80에 대한 광고가 있다.
반응주파수는 20에서 20,000사이클이다.
가격은 68.5달러이다.
액시옴 22도 나와 있는데 12인치라 그런지 반응 주파수는 액시옴 80보다 훨씬 못한 30에서 15,000사이클로 나와 잇다
가격은 어쩐지 액시옴80 보다 높은 72.95달러다. 쇠가 많이 들어 가서 그런가???
1953년 4월호에 탄노이 오리지날 사진이 나와 있고 12인치와 15인치에 대한 광고인데 역시 반응주파수는 실버와 같이 12와 15 공히 35에서 20,000사이클이며 가격도 12인치가 130달러 15인치가 159달러이다
요즘 15인치 오리지날 유닛의 가격은 얼마나 하는지 실제 거래사실이 나타나지 않으니 모르겠다
12인치 오리지날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오리지날과 실버와의 가격차이는 없으며 스펙은 좀 다르나 반응주파수는 같은데 정말 실버와 오리지날이 품질상의 차이가 많이 있는 걸까
오디오 매니어들이 오리지날하면 꺼뻑 죽는 것을 보고 시각적인 현상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우리의 귀가 상당히 주관적이라 시각차이로 소리가 달라지는 것은 아닌지???
'오디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nnoy(탄노이) '시리얼번호와 제작년대'-[탄노이 사운드]. (0) | 2007.03.28 |
---|---|
tannoy의 또다른 이야기 (0) | 2007.03.22 |
UL sound 의 새로운 프리앰프"노블" (0) | 2007.03.20 |
명기의 세계 - "피셔" 튜너 "90X" (0) | 2006.12.21 |
[스크랩] 중출력 직열3극관-WE300B (0) | 2006.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