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아날로그",그리고 LP!

"Tannoy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Autograph" 에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자세히보기

오디오 이야기

[스크랩] 중출력 직열3극관-WE300B

chocho(조)의 탄노이(tannoy) 2006. 12. 21. 09:54

이 진공관은 직열 3극관 중에서 오디오용으로 개발된 것 중에서 가장 유명한 진공관으로 성능, 외관, 가격 모두 최고의 위치를 확보한 오디오 매니아의 꿈의 대상일 것이다. 300B는 눈부시도록 화려한 음색으로 듣는 이를 매혹시킨다. 초고역부터 초저역까지 음폭의 레인지감은 타 진공관에서는 느낄 수 없는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2A3에 비하여 훨씬 성숙한 면모를 갖추었다는 진공관이다.

웨스턴 일렉트릭사(WEC)는 미국 최대의 영화회사로 토키 영화를 개발한 시대로 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녹음 재생장치를 연구 제작하고 실적을 쌓아 왔기 때문에 시장의 세력도 대단했을 것이다. 따라서 음이 좋은 300B를 만든 것은 당연했을 거라고 추측해 본다.

WE 300A는 1933년에 영화음향, 확성기용으로 개발한 진공관으로 필라멘트는 5V/1.2A, Ep 350V, Ip 80mA, rp 0.7 킬로옴, RL 2.5 킬로옴, 출력 9.6왓트. 이것은 WEC에서 발표한 300B 정격의 한 예로 Ep 200V에서 450V까지의 범위로 수많은 동작 예를 발표하였다. 1933년 WE 300A 발표 당시는 Ep 300V였지만 나중에 400V로 개선되었고 또 450V(최대)로 되었다. 그 사이 내부 구조의 변화는 없었기 때문에 현장에서 동작경험을 토대로 정격을 높혀 갔을 것이다.  

300A가 사용된 최초의 앰프는 유명한 WE 86A로 PP로 출력 10왓트였다. 1934년에 제조된 것이다. WE 205D PP의 WE 42의 인스트럭션 매뉴얼에도 205D를 300A로 교환하여 파워업 하는 방법이 적혀 있는 것도 흥미있는 일이다.

1936년에 300A 싱글 앰프의 WE 91A가 발표되었다. 300A의 전단에는 WEC 앰프로는 처음으로 5극관 WE 310A가 2단 증폭으로 사용되었고 NFB가 5극관의 디스토션을 경감시키기 위해 채용되었다.  WE86A, WE91A는 전압증폭단이 지금까지의 직열관에서 방열관으로 바뀌어 필라멘트 점화용의 배터리가 제거되었다. 앰프의 보수면에서도 대 혁명이라고 할 수 있다.

WE 300A는 WE 252A에 비해, 플레이트 용접부를 중앙으로 하여 플레이트의 두께정도를 높히고 플레이트 손실도 향상시켰다. 플레이트 전체에 균일한 전류가 흐르도록 필라멘트를 1개의 M형에서 2개의 M형으로 하고 각각을 병열로 접속한 것이다.  또한 WE 300B와는 달리 원형의 마이카를 채용하고 있다. 진공관의 스타일은 당당한 고전적인 외관이지만 플레이트 판도 크고 정밀하게 가공된 그리드나 굵은 히터선이 보여 보는 것만으로도 매력적이다.

300B는 음질이 좋은 반면 gm(상호 인덕턴스)이 낮아 감도가 나쁘기 때문에 충분한 드라이브 신호전압을 걸어야 한다.  또 그 때문에 전단회로의 단수를 늘리면 결과적으로 좋은 특성이 사라져 버리기 때문에 앰프 회로 구성을 신중히 해야 한다.

WE 300A는 1938년에 WE 300B로 되었고 1949년에 군용의 300B인 CW 300B를 발표하였고, 1952년에는 더욱 그레이드업 된 신번 300B가 나타났고, 1969년 제조 중지될 때까지 만들어 졌다. 이 신번 300B는 주로 나사에서 사용되었다고 한다. 제조중지 후에도 나사의 요청에 의하여 1974년까지 생산하고 있었다. 이 사이에 제조된 진공관이 우리들이 입수하여 사용하고 있는 벨 마크의 300B이다.  

또 WE 300B는 1933년 발표된 이래 오늘날에 이르기 까지 오디오 매니아라면 한번쯤 사용해 보고 싶은 꿈의 3극 직열관으로 전통적으로 300B는 음질을 바꾸지 않고 일관되게 유지해 왔다고 전해지고 있는 것처럼 필자의 감에 의하면 300B가 다른 진공관으로는 낼 수 없는 매혹적인 소리를 내 주는 근거는 300B 특유의 하모닉 특성에 있을 것이다. 제4, 5, 6 고조파가 대단히 아름답게 자연스럽게 뻗히고 있으며, 이에 필적할 고조파 특성은 4300A 정도밖에 없다고 말할 수 있다.

음질적으로는 부드럽고 깨끗한 순도높은 음질을 느끼게 하나 매칭 스피커에 따라 파워감이 다소 부족한 감을 느끼게 한다. 이 300B의 매혹적인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캐소드 팔로워 직결 드라이브 등 임피던스를 낮게 하여 드라이브 하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출처 : 초초님의 플래닛입니다.
 

'오디오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L sound 의 새로운 프리앰프"노블"  (0) 2007.03.20
명기의 세계 - "피셔" 튜너 "90X"  (0) 2006.12.21
전설의 스피커-"탄노이 불랙"  (0) 2006.12.19
tannoy통의 규격  (0) 2006.12.11
오디오의 장인-최장수  (0) 2006.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