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아날로그",그리고 LP!

"Tannoy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Autograph" 에서 듣는 세상의 좋은 音樂들" 자세히보기

교향곡,협주곡,관현악,등.

"Reinhold Gliere"심포니.3번(Ilya Mourometz.일리야 무로메츠)과 "The Bronze Horseman청동 기마상)"-'모스코바 라듸오 심포니'(Nathan Rachlin지휘).

chocho(조)의 탄노이(tannoy) 2021. 3. 4. 20:40

국내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를 않은 "글리에르"의 음악은 (구)쏘련의 아련함과 북쪽지방의 정취가 묻어 나오는 감성이

 음악의 내면에 깔려 있습니다. 특히 느린 춤곡들은 경쾌하고 발랄함의 이면에서 느끼는 우울함이 함께 우리의 감성을

자극 합니다.  이음반의 타이틀 곡인 심포니 3번인 "Ilya Mourometz(일리야 무로메츠)"는 전설속의 영웅 "무로메츠"의

무용담을 내용으로 한 러시아의 전래민요 '빌리나(Bylina)'를 토대로 작곡 되었습니다.  '나단 나흘린'의 지휘와

'모스코바 R 심포니'의 연주인, 이음반은 1975년 2Lp로 'Melodiya'에서 제작 되었습니다.

-"글리에르"의 "The Bronze Horseman(청동 기마상)"- [1]Fortune Telling(운명예감),Round Dance(원무).

[2]Rendezvous(랑데뷰).  [3]Waltz .  [4]Foreboding(폭풍예감).  [5]Hymn to the Great City(대도시 찬가).연속하여

듣습니다.  ('알지스 주라이티스' 지휘의 "볼쇼이 오케스트라 연주 입니다.)

"라인홀트 글리에르(러시아, 1875-1956)"는 '러시아' 국민음악을 직접 이어받은 음악가이며, 특히 구소련의 우크라이나,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등의 민족음악의 발전을 위하여 현지의 젊은 작곡가들과 협력하여 민족적 가극을 만들었

고, 또한 민족적 주제에 의한 표제교향곡을 작곡하였다.

 

"글리에르"는 1875년 1월 11일에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에서 태어났다. 1891년부터 1894년까지 음악학교에서

'오트칼 세프티크(1852-1934)'에 이어서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알렌스키'와 '뉴코스'에게서 화성법을, '타네예프'에게서

폴리포니와 악식론을,'이폴리토프 이바노프'에게서 자유작곡을 배웠다. 1900년부터 교육에 종사하여, '미야스코프스키'와 '프로코피예프'는 일찍부터 그의 지도를 받았다. 1920년, 모스크바 음악원으로 전근하여 작곡반을 담당하였다. 그 반에서는 구소련의 여러 작곡가들이 배출되었는데,'아람 하차투리안'도 그 중의 한 사람이며, 1910년 이후는 지휘자로서 구소련 각지를 돌아다녔다. 1956년 6월 23일 81세로 별세하였다.

 

나단 라흘린(Nathan Rachlin(1905년-1979년))

구소련 출신의 지휘자 '나단 라흘린'은 2008년 러시안 지휘자 시리즈 전집을 통해서 재조명받았지만 국내에서 '스비아토슬라브 리히테르'와 '로스트로포비치'의 협주곡 음반들의 반주 지휘자로 그나마 이름이 알려진 지휘자였다.

'나단 라흘린'은 러시안 관현악의 권위자로 '차이코프스키'와 '프로코피에프', '칼린니코프'의 교향곡 작품들로 알려졌다. 1936년 지휘자로 데뷔한 이래 25년간 '우크라이나 국립관현악단'의 상임지휘자로 재직하였고, 구소련의 영화음악감독으로 여러 무성영화 작품들의 녹음하였다. 1941년 '알렉산더 가우크'의 후임으로 구소련연방국립교향악단의 음악감독으로 1950년대 중반까지 활동하였고, 1966년 '타타르스탄국립교향악단'을 창단하여 사망할때까지 상임지휘자로 활동하였다. 구소련 MELODIYA레이블에서 모노시대 음반들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