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nnoy통은 tannoy유닛에서 좋은소리를 얻는데 매우 중요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요즈음 판매되고 있는 제품은 100% 오리지날통 이니 선택의 여지가 없지만,

"골드" 이전의 古유닛의 경우에는 심각한 고민에 빠질수 밖에 없읍니다.

하여, 여러의견을 들어보고 이곳저곳을 살펴보아도,의견이 분분하여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제 경험에 의한 소견을 간략하게 말씀 드립니다.

1.12"유닛에 소출력 진공관 앰프로 현악 위주의 소편성 음악을 듣기에는 tannoy오리지날통

   (랑카스타,요크,G.R.F등)에서 큰 무리가 없지만,

2.15"유닛에서 힘있는 앰프로 교향곡이나 실항중계같은 대편성 에서는 국산통일 지라도

   "오토그라프"에서 답답하지 않은 편안한 소리를 들려 주었읍니다.

 

댓글
2010.06.25 18:56:47 (*.18.119.194)
최형돈
조선생님 안녕하세요. 탄노이 레드 12인치와 15인치를 모두 운용하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시간 나시면 국산통 오토그래프에 15인치 레드를 넣고 12인치 레드의 네트워크를 사용해보십시요. 12인치로 들을 때의 짜임새 있는 소리가 15인치에서는 제대로 나오지 않을 때에 그것을 해결하는 좋은 방편일 수 있습니다. 아기자기 하면서도 스케일감 있는 멋진 소리를 들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디바이딩 주파수가 스피커의 특성에 맞지 않는다고 지레 판단하지 마시고 한번 시도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15인치 레드에 12인치 네트워크로 사각통 랑카스터와 코너요크를 이용하여 실험해보았는데 모두 좋은 경험을 하여 현재는 12인치 네트워크 + 15인치 레드+ 코너요크로 듣고 있습니다.^^
댓글
2010.06.25 18:57:52 (*.18.119.194)
최형돈
반대로 12인치 유닛에 15인치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소리가 "영 아니올시다." 였습니다.
삭제 수정 댓글
2010.06.25 22:13:53 (125.137.53.222)
조찬규
최선생님 안녕하세요? 그동안 많은 조언에 감사 드립니다. tannoy소리에 빠져 벌써 10년이 되어 갑니다. 한번 시도해 보도록 하겠읍니다. 최선생님 께서도 "오토그라프"를 한번 운용해 보시길 請해 봅니다. 잘 건조된 "오토그라프"로 나오는 tannoy소리는 자연속에 있는듯 편안 합니다. 즐거운 음악생활 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2010.06.26 01:45:19 (*.192.170.4)
최형돈
많은 조언이라니요..ㅎㅎ 조선생님께서 올리시는 좋은 정보 늘 감사하게 보고 있습니다. 청취 공간이 넓으면 저도 오토그래프를 운용해보고 싶은 데 그게 쉽지 않군요. 쩝.^^
삭제 수정 댓글
2010.06.27 11:35:50 (125.137.53.222)
조찬규
최선생님 저도 열댓평 되는 Apt 거실에서 듣고 있읍니다. 시스템을 베란다 창쪽으로 배치하면 뒤쪽에는 주방이나 현관등,튀인곳이 많아 별다른 룸튜닝이 없이도 반사음을 줄일수 있읍니다. 또 "오토그라프"양쪽으로 휘돌아 나오는 배음이 거실 전체를 휘감아 마치 연주회장 지휘자석 에서 듣는듯한 착각을 느끼게 합니다. 즐음 하세요!!!
댓글
2010.07.07 14:35:50 (*.67.249.146)
안승택
탄노이 네트워크를 관찰해 보면 어떤 대역은 통울림으로 해결하고 있는 듯 싶습니다. 통의 의존도가 다른 스피커에 비해서 높다는 생각입니다. 통에 유닛을 넣고서 주파수 측정을 하고 거기에 맞추어서 네트워크의 시정수치들을 잡았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탄노이에서 오리지널통의 가치는 충분히 인정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5인치 크로스오버포인트가 1000에서 1700으로 올려놓으면 중량감은 증가하고 중역부 해상력은 조금 손상을 입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취향에 따라서 충분히 시도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선생님~! 잘 지내시지요? ㅎㅎ
댓글
2010.07.07 19:33:59 (*.18.119.194)
최형돈
안선생님 안녕하신지요...저도 잘 지내고 있습니다. 제가 12인치 네트워크를 연결해본 것은 그냥 심심풀이로 해본 것입니다. 그런데 결과는 예상 밖으로 참 좋았습니다. 흔히들 12인치가 가지는 정갈하고 짜임새 있는 소리가 15인치에서는 잘 나지 않아 고민하는 경우를 많이보았습니다. 저 또한 15인치 네트워크로는 어딘가 짜임새가 엉성하고 어색한 소리가 나는 경우를 많이 보고 체험하였던 바 오리지널 코너형 통에서는 15인치라도 그런 경우가 거의 없기에 의아하게 생각하였습니다. 순전히 저의 추측이건데 12인치 네트워크를 가지고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은 것은 국산통이 가지는 유닛과의 부조화가 12인치 네트워크로 인하여 덜 드러나는 것은 아닌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예상과는 달리 짜임새있고 아기자기하면서도 중후한 저역까지 다 소화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상당히 만족하고 있습니다. 저희짐을 방문하신 동호인들도 다들 동의하시는 부분이라 한번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댓글
2010.07.12 14:38:05 (*.158.205.87)
전만두
7 8년 전과의 소리차이는 통이오래돼서가 아니고 스피커와 기타 등등 이 에이징이 되어 그렇지 통 이오래됫다꼬 통소리가 좋아진다? 글씨요~~ 스피커 통하고 첼로통소리와 혼동하시는건 아닐테고...
댓글
2010.07.23 19:52:20 (*.40.229.142)
정인식
통을 한번쯤 자작하셔서 들어보셨거나, 더구나 오래된 오리지널통하고 비교를 해서 들어 보시지 않으신 모양입니다. 전만두님은. 소리가 초보자가 들어도 확연히 다르지요. 현악기와는 물론 다르지만 소리가 벽에 반사가 되어 돌아나오는 판국에 순이 빠진 나무와 생나무가 같다고 생각하시는게 저는 더 이해가 안갑니다. 수분함유량이야 거의 제로수준으로 같지만 나무의 조직이나 물성이 너무 다릅니다. 개인적으로 1~2십 들여서 작은인클로저로 장난치시는건 괜찮지만 백만원씩 들여서 큰 인클로저를 짜는건 말리고 싶습니다. 요즘 미송합판은 큰나무가 고갈되어서 옹이도 많죠?
댓글
2010.07.23 19:54:17 (*.40.229.142)
정인식
백만원===>몇백만원...으로 정정합니다.
삭제 수정 댓글
2010.07.25 14:17:30 (125.137.53.222)
조찬규
저는 이곳을 오디오쟁이 들의 좋은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장소로 알고 경험에의한 글을 올리고 있읍니다. 물론 자신의 경험과 상이한 점에 대한것은 그냥 참고로하고 무시해버리면 되겠읍니다. 통이 오래되면, 1.건조상태가 달라지고. 2.연결된 부분의 쪼임이 달라지고. 3.유닛과의 매칭이 좋아지죠. 한 15년쯤 지난 "오토그라프" 통 저는 정말 tannoy에는 좋은 통이라고 생각 합니다.
댓글
2010.10.24 22:35:28 (*.134.34.35)
최형돈
탄노이에서 12인치 네트워크가 오히려 부담없고 자연스러웠던 이유는 스피커 케이블과 인터케이블 때문이더군요. 해상력의 손실을 감수하고 빈티지 케이블로 바꾸니 중고역의 차갑고 거친 음이 사라져 12인치 네트워크는 다소 밋밋해졌습니다. 대신 15인치 네트워크가 제 소리를 냅니다. 결국 빈티지 시스템에는 빈티지 케이블이 어울린다는 결론에 도달합니다. 빈티지 시스템이 생산될 당시 쓰던 케이블에 맞추어 오디오시스템을 튜닝해 놓았으므로 그 당시 케이블을 써주는 것이 효과적일 수 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됩니다.
삭제 수정 댓글
2011.02.02 14:49:16 (125.137.53.222)
조찬규
tannoy 고전유닛의 경우 케이블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은선의 경우 음의 산만해짐을 느끼며 일반 주석선의 경우 답답함이 느껴지고, 제 경우 4~50년대 7가닥(중1가닥은 강심)웨스턴 구리선을 사용하는데 차분하면서도 매끄러운 질감을 느낍니다. 샤크와는 또다른 시원함이 있읍니다.

3.국산통일 경우에는 세월이 지나야 한다는 것입니다. 제"오토그라프"경우 7~8년 전과

   울림의 차이를 느낍니다.

일요일 아침 한가하게 웅산의 쉬원하고 감미로운 목소리를 들으면서, 제 경험에
   의한 생각을 적어 봅니다.

*사진의 위쪽은 "랑카스타"이고 아래쪽은 "오토그라프" 12"와 15" 입니다.